|
25일(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숨고르기에 들어갔습니다. 전날 3만선을 돌파했던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이날 0.58% 떨어진 2만9,872.47에 마감했습니다. 3만선 밑으로 물러났는데요.
시장은 예상을 크게 웃돈 신규 실업급여 청구 건수에 실망한 기력에 역력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경기회복 속도를 우려하면서 자산매입 프로그램에 변화를 줄 수 있음을 시사했는데요. 당장은 아니지만 곧 시행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날의 주요 사안들을 한 번 짚어보겠습니다.
이는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주 연속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이는 지난 7월 이후 처음인데요.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급격한 확산이 고용시장에 다시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전문가들이 이 숫자를 주목하는 이유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전국에 걸쳐 증가했다. 미네소타와 오하이오, 일리노이 등 코로나19 감염이 급증한 주에서 청구 건수가 크게 늘었다”며 “전국적인 코로나19 급증이 노동시장 회복에 부담이 되기 시작했다는 신호”라고 분석했습니다. 이번 겨울이 가장 큰 위기라는 점을 고려하면 올 4·4분기와 내년 1·4분기 미 경제성장률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물론 이날 좋은 지표도 나왔습니다. 지난달 내구재 주문이 1.3% 증가했고 소비자지출은 0.5% 늘어나 6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그럼에도 코로나19 재확산과 추가 경기부양책 지연에 따른 우려가 더 크다는 얘기지요.
이날 공개된 연준 회의록에도 이 같은 부분이 잘 드러납니다. 회의록을 보면 “코로나19의 재확산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경기가 둔화할 수 있다는 게 리스크”라며 “경제활동과 고용이 회복되고 있지만 연초 수준과 비교하면 여전히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나와 있는데요.
|
이 때문에 연준도 경제를 지원할 수 있는 추가적인 방안을 곧 내놓을 예정입니다. 현재 연준은 한 달에 1,200억달러어치의 국채와 모기지 증권 등을 사들이고 있는데요. 연준은 “지금의 채권 구매속도가 금융시장 상황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면서도 “필요하다면 변화를 줄 수 있다”고 했습니다. 연준은 또 연말까지 의회가 추가 부양책에 대한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고 했습니다.
이 중 네 번째는 시장에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어 택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시장에서는 일단 장기채권 매입비중을 높이는 방식을 고르지 않겠느냐고 보고 있는데요.
실제 회의록에는 “채권 구매속도를 높이거나 규모를 확대하지 않고 만기일이 긴 국채 매입을 늘림으로써 더 많은 지원을 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고 적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장기채권을 매입하면 경기부양 효과가 더 크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연준이 양적완화(QE)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은 것도 장기채권 매입이 많지 않았기 때문인데요.
|
회의록에는 구체적인 시점이 안 나와 있습니다. 회의록에는 “많은 참석자들이 위원회가 자산 매입에 대한 지침을 곧 강화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고 판단했다”고 돼 있습니다.
하지만 회의록에 이 정도로 나와 있다는 조만간 변경이 이뤄진다고 보면 됩니다. 연준은 외부에 공개되는 회의록에 힌트를 남겨 시장이 대비할 수 있게 해준 뒤 행동에 나서기 때문이죠. 월가에서는 다음 달이 될 것이라는 얘기가 흘러나옵니다. CNBC는 “시장 참가자들은 12월 회의에서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본다”고 전했습니다. 전쟁에 쓸 수 있는 탄약을 다 소진한 것 아니냐는 평가를 받는 연준이지만 일단 다음 달에는 추가 지원책이 나올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뉴욕=김영필특파원 susopa@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