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홀딩스가 최근 원자재 가격 상승에 선제적인 가격 반영과 양극재 등 미래차 소재 수요 증가, 글로벌 자원 가격 급등으로 안정적인 1분기 실적 성장을 보였다.
25일 포스코홀딩스는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2.8% 증가한 21조 3000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2조 3000억 원, 1조 9000억 원을 보였다.
사업회사 포스코의 영업이익은 1조 199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다. 다만 최근 고로 및 열연, 선재 공장 등 주요 설비의 수리로 인한 생산·판매 감소 및 석탄 가격 등 원가 상승으로 전 분기 대비 영업이익은 28%가량 줄어들었다.
이날 열린 콘퍼런스콜에서 포스코홀딩스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석탄·니켈 등 원자재 가격이 폭등한 상황에서 최근 원가 상승에 따른 제품 가격 인상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실제 포스코는 최근 자동차·가전사들과 공급가 협상을 통해 일부 원가 인상안을 최종 가격에 반영했다. 또 이번 주 안으로 장기화되고 있는 조선 3사와의 후판 가격 협상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포스코케미칼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으로 매출액 6646억 원, 영업이익 255억 원, 순이익 360억 원의 경영 실적을 발표했다. 전 분기 대비 매출은 23.7%, 영업이익은 24.8% 늘어났다.
7분기 연속 사상 최대 매출 기록도 세웠다. 이는 양극재 광양 공장이 양산 체제를 본격 가동하며 배터리 소재 사업이 전 분기 대비 44.1% 증가한 3171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양극재는 전기차 배터리용 하이니켈 제품의 판매 증가와 원료 가격 인상이 판매가에 반영되며 전 분기 대비 48.1% 증가한 2722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포스코케미칼은 양극재 42만 톤에서 61만 톤으로 생산 규모를 45% 늘린다는 계획이다. 음극재는 26만 톤에서 32만 톤으로 23% 상향하고 제품 포트폴리오도 확장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창사 이래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글로벌 공급망 위기 등에 따른 액화천연가스(LNG)·팜유 등 자원 가격 급등에 수혜를 봤다.
이날 포스코인터내셔널은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한 9조 9122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70% 증가한 2160억 원, 당기순이익은 75% 증가한 1조 6312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영업이익·순이익 등 모든 측면에서 사상 최대 수준이다. 특히 영업이익은 기존 최대치인 2019년 2분기 1800억 원과 현재 시장 컨센서스 1593억 원을 상회했다.
특히 투자 분야에서 인도네시아 팜유 사업이 높은 성과를 보였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국내 상사 중 최대 규모의 팜농장을 보유하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공급난 속에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78% 상승한 345억 원을 기록했다.
이날 포스코홀딩스는 연결 기준 연간 재무 목표로 매출액 77조 2000억 원, 투자비 8조 9000억 원을 공개했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