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이자 더 줄께" 퇴직연금 커닝공시…금융당국, 칼 뺐다

연말 '머니무브' 우려 커지자
상품 만기·금리 매달 공시 등
퇴직연금 과당경쟁 방지 나서

  • 서종갑 기자
  • 2022-11-23 17:58:38
  • 프린트하기
  • 이메일보내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



금융 당국이 퇴직연금 사업자·비사업자의 과도한 금리 경쟁 자제와 예기치 않은 자금 유출에 대비한 유동성 확보 지침을 내렸다. 비사업자의 ‘커닝 공시’도 규제한다. 올 연말 퇴직연금발(發) 대규모 머니무브로 채권시장이 재차 요동칠 수 있다는 우려가 쏟아지자 예방책을 내놓은 것이다.

23일 금융 당국과 금투 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22일 오전 퇴직연금 사업자 48개사 및 비사업자를 포함한 총 90여 개사에 ‘퇴직연금 원리금 보장 상품 제공 운용 금리 공시 관련 유의 사항 통보’라는 제목의 행정지도 공문을 보냈다.

행정지도에는 총 다섯 가지 사항이 담겼다. △퇴직연금 원리금 보장 상품 제공사는 12월 금리 결정 시 공정 경쟁 질서 유지에 협력할 것 △예기치 않은 자금 유출에 대비해 유동성을 확보할 것 △퇴직연금 사업자는 특정 상품 제공 기관을 비방하는 등 공정거래 질서를 훼손하지 말 것 △퇴직연금 사업자와 비사업자는 모두 원리금 보장 상품의 만기와 금리를 매월 1일의 4영업일 전 오후 4시까지 송부할 것(12월 적용 금리는 25일까지) △퇴직연금 사업자는 자사 및 타사의 원리금 보장 상품의 만기와 금리를 매월 1일의 3영업일 전 오후 5시까지 공시할 것(공시 후 수정·추가 불가) 등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본 조치는 감독 규정 개정 작업을 밟아야 하는 건이지만 상황의 시급성을 고려해 행정지도로 선시행한 다음 내년 초 감독 규정 개정에 나서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행정지도는 퇴직연금발 연말 머니무브를 막기 위해 내려졌다. ‘커닝 공시’를 막기 위한 조치가 핵심으로 꼽힌다. 그간 퇴직연금 사업자들은 다음 달 상품 출시를 앞두고 원리금 보장 상품의 만기와 금리를 공시했다. 공시 마감 기한은 다음 달 1일의 4영업일 전이었다. 반면 비사업자는 이 같은 의무가 없었다. 이 때문에 비사업자가 사업자의 공시 금리를 본 후 이보다 높은 금리를 제시해 퇴직연금 적립금을 빼앗아 간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 이번 조치로 퇴직연금 사업자와 비사업자는 매달 1일의 3영업일 전까지 금감원에 다음 달 판매할 원리금 보장 상품의 만기와 금리를 알리게 됐다.

퇴직연금 원리금 보장형 상품의 적립금은 지난해 228조 1000억 원에서 올해 255조 4000억 원으로 11.97% 증가했다. 2020~2021년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연간 수익률은 각각 1.68%, 1.35%에 불과했다. 사업자와 비사업자 간 금리 격차도 미미했다. 그러나 올 들어 기준금리가 급등하면서 판도가 바뀌었다. 한 달 사이 금리가 50bp(1bp=0.01%포인트)씩 껑충 뛰면서 11월 기준 퇴직연금 사업자의 원리금 보장형 상품의 약정 금리는 5.10~5.65%, 비사업자는 6.60~7.15%까지 뛰었다. 사업자와 비사업자 간 금리 격차도 적게는 1%포인트에서 크게는 2%포인트까지 나게 됐다.

특히 올해 들어 기준금리가 급등하면서 은행권의 예적금 금리가 연 5% 이상으로 치솟으며 보험 업계의 퇴직연금 이탈 우려가 커졌다. 보험 업계 대부분은 이율 보증형 상품을 통해 확정급여(DB)형 퇴직연금을 운영하고 있다. 보험사의 이율 보증형 상품은 국공채로 운영된다. 재예치가 안 될 경우 보험사는 국공채를 매도해야 한다. 경색된 채권시장에 보험사까지 나서 국공채를 매도할 경우 자금 시장이 급속히 냉각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일각에서는 이번 조치에도 금리 경쟁이 재차 벌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금융 업계의 한 퇴직연금 담당자는 “보험 업계를 중심으로 금리를 높여 쓸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며 “은행권의 예적금 금리가 워낙 높아 지난해 정도의 재예치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뺏기는 물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라도 금리를 높여 제시하려는 움직임이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