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지난해 80조 잃은 국민연금, 1분기 58.4조 원 벌었다

3월까지 전체 수익률 6.35%
국내 주식서 12.42%기록
기금 규모 950조 원대

  • 김선영 기자·임세원 기자
  • 2023-05-30 14:51:20
  • 프린트하기
  • 이메일보내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주식, 채권


국민연금공단이 올해 1분기까지 운용 수익금 58조 4000억 원을 벌어들여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 지난해 주식과 채권 부문에서 80조 원의 평가 손실을 봤으나, 올해 들어 3개월 만에 60조원의 수익을 낸 셈이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올해 3월까지 6.35%의 운용 수익률을 기록했다고 30일 공시했다. 2월(5%)과 비교해 1.35%포인트 증가했다. 3월 말 기준 기금 규모는 953조 1550억 원이다.

자산별로는 국내 주식(12.42%), 해외 주식(9.70%), 해외 채권(5.38%), 대체투자(3.49%), 국내 채권(3.25%) 순으로 수익률이 높았다.

전통자산인 주식과 채권은 기준수익률인 벤치마크를 소폭 웃돌았다. 국내주식은 0.05%포인트, 해외 주식은 0.57%포인트, 국내채권 0.11%포인트, 해외채권 0.06%포인트 상회했다. 벤치마크를 넘긴 정도는 전체 시장 상승폭에 더해 추가로 벌어 들인 수익률을 뜻한다.

지난해 국민연금은 글로벌 인플레이션 충격과 주식·채권 시장 악화의 충격으로 80조 원대 평가 손실을 기록했다. 연간 수익률은 -8.22%에 그쳤고, 지난해 12월 기준 기금 자산은 890조 4657억 원으로 쪼그라들었다.

국민연금은 올해 1월 금융시장이 지난해보다 진정세를 보이면서 2021년 12월 이후 13개월 만에 첫 흑자 실적을 기록했다. 기금 규모는 올해 3월 말 기준 950조 원대로 회복하면서 2022년 1분기 말(928조 7000억 원)과 비교해 24조 원 이상 증가한 것이다.

국민연금은 올해 주식과 채권 부문의 수익률이 크게 오르면서 전체 운용 실적을 회복한 것으로 분석된다. 해외채권과 대체투자 부문은 지난해에 이어 올 1월까지 각각 -0.81%, -1.76%로 마이너스를 기록했으나, 2월부터 모두 흑자 전환에 성공하면서 투자 손실을 줄였다.

세부적으로는 국내 주식에서 3월까지 15조 원 이상을 벌어 평가액을 140조 2810억 원으로 늘렸다. 해외 주식 평가액은 3월까지 266조 2930억 원으로 24조 원 이상을 벌었다.

국내 및 해외 채권은 연준의 긴축 속도 조절 기대에 따라 모두 평가이익을 거뒀다. 수익률은 각각 국내 채권은 1.99%포인트, 해외 채권은 0.72%포인트 상승했다.

대체투자는 2월에 이어 3월까지 플러스 수익을 거뒀으나, 대부분 이자·배당 수익과 외화환산이익이 반영된 것이다. 실질 투자 성과는 매년 초 외부 전문기관을 통해 자산 규모와 투자 손익 등을 반영하는 공정가치 평가에 따라 결정된다.

김태현 국민연금 이사장은 "통화 긴축 영향과 주요국의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양호한 수익률을 기록했다"며 "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응하고 투자 다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수익률 제고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민연금은 올해 기금 운용 전문가 충원과 업무 환경 개선 등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 기금 실적을 회복할 계획이다. 올해 하반기 중 기금운용본부 운용 전문가를 충원하고 서울 논현동 강남 사옥엔 30석 규모의 기금운용본부 전용 스마트워크센터를 마련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