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짐 싸는 중학개미…두달새 6000억 빠졌다

순매수 톱 50종목서 자취 감추고
해외 주식형 ETF 왕좌도 빼앗겨
中정부 부양책에도 부동산 비관
예상 밖 저조한 리오프닝도 한몫
글로벌 자금도 자금이탈 불 붙어

  • 서종갑 기자·정다은 기자
  • 2023-09-18 17:49:03
  • 프린트하기
  • 이메일보내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



국내 투자자의 탈중국 행렬이 이어지며 중화권(중국·홍콩) 주식 보관액이 두 달 만에 약 6000억 원 증발했다. 지난 2년여간 해외주식형 상장지수펀드(ETF) 순자산 1위를 고수하던 중국 전기차 ETF가 선두 자리를 내주는 등 중학개미들은 손절을 감수하면서도 중국 시장에서 빠져나오는 모양새다. 증권가에서는 중국 정부의 부양책에도 단기간 중국 경제 여건이 회복되기 어려운 데다 중국 공산당의 경제관리 능력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18일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의 중화권 주식 보관액은 14일 기준 30억 9592만 달러(약 4조 1073억 원)로 7월 말 대비 12.9%(약 6076억 원) 감소했다.

자금 이탈 속도가 빨라진 것은 중국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 비구이위안(碧桂園·컨트리가든)이 지난달 7일 채무불이행(디폴트)에 직면하면서다. 헝다 등 대형 건설사의 경영난이 잇따르며 가뜩이나 어려운 중국 부동산 시장이 급격히 얼어붙을 수 있다는 전망이 이어지며 올 1월 말 약 5조 원으로 쪼그라든 후에도 오히려 속도를 높이는 모양새다.

중화권 종목은 해외 주식 투자자의 보관액 상위 순위에서도 자취를 감췄다. 올 초만 해도 외화 주식 보관액 순위 50위 내에 중화권 주식 3종목이 포함됐다. 32위 홍콩 텐센트홀딩스(2억 4316만 달러), 38위 중국 항서제약(2억 2024만 달러), 47위 항셍차이나지수 상장지수펀드(ETF·1억 8114만 달러) 순이었다. 하지만 14일 기준으로는 단 한 종목도 찾아볼 수 없다.

해외 주식형 펀드에서도 중학개미들의 탈출 행렬은 이어지고 있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TIGER 차이나전기차Solactive’의 순자산 규모는 이달 8일 2조 3853억 원으로 ‘TIGER 미국나스닥 100(2조 4053억 원)’에 역전 당했다. 2021년 해외주식형 ETF 중 순자산 1위로 올라선 지 약 2년 5개월 만에 왕좌를 뺏긴 셈이다. TIGER 차이나전기차Solactive는 비야디(BYD) 등 중국 전기차 산업 전반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올 초만 해도 순자산이 3조 원 안팎이었으나 지난달부터 급격히 쪼그라들기 시작했다. 부동산발 위기로 인해 중국 증시가 충격을 받으면서 ETF 주가도 8월 한 달 동안에만 7.85% 급락했기 때문이다. 투자자들이 대거 ‘눈물의 손절’에 나선 것도 순자산 급감의 또 다른 원인이다. 상장 이후 이 상품을 3조 원 이상 순매수했던 개인들은 올해 하반기 들어서는 1109억 원어치 순매도하며 ‘팔자’로 돌아섰다.

자금 이탈은 ETF뿐 아니라 중국 펀드 전반에서 일어나고 있다.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한 달간(8월 14일~9월 15일) 중국주식형 펀드에서 총 1016억 원의 설정액이 빠져나갔다. 기간을 3개월로 넓히면 총 이탈 금액은 4208억 원에 달한다.

이처럼 중국시장에서의 글로벌 자금이 썰물처럼 빠져나가자 중국 정부는 부동산 위기 진화를 위한 정책을 내놓으며 진화에 나섰다. 인민은행은 15일부터 지급준비율을 0.25%포인트 인하하기로 하고 시중에 약 7000억 위안(약 127조 3860억 원)의 유동성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접어들 수 있을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동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9월 중화권 증시가 전월 대비 소폭 상승할 것이라는 기존 시각을 유지한다”면서도 “단 이달 이후에도 증시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경기 개선과 정책 완화가 동반돼야 하는데 이에 대한 확신은 아직 크지 않다”고 진단했다. 정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중국 경제가 40년가량 발전을 거듭하면서 이제는 정부 통제나 정책 영향이 제한적”이라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독재 체제가 거대 경제권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