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태’를 계기로 기업공개(IPO) 관련 고강도 심사를 예고하자 내년 초 증시 입성을 노리는 상장 예비 기업들이 잔뜩 긴장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상장 뒤 변수를 줄이기 위해 공모 일정을 늘려 잡거나 예비심사 단계에서부터 잠정 실적 공개를 준비하는 IPO 기업들이 속출하고 있다.
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포스(POS) 단말기·키오스크 제조 기업 포스뱅크는 지난달 29일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도 수요예측 일자를 내년 1월 5일로 잡았다. 이달 21일이면 증권신고서 효력이 발생하는데도 수요예측까지 시간적 여유를 둔 셈이다. 포스뱅크는 투자은행(IB) 업계가 내년 코스닥 1호 상장 기업이 될 가능성을 높게 보는 회사다. 10월 27일 상장예비심사 승인을 받고도 석달 뒤에야 코스닥시장에 입성하는 ‘만만디’ 전략을 선택한 셈이다.
이는 최근 올 하반기 증시에 입성한 IPO 기업들과는 상반된 행보다. 기존 상장 예비 기업과 상장 주관사 상당수는 지난 6월 금융 당국이 수요예측일을 기존 2영업일에서 5영업일로 늘리자 IPO 지연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요예측 일자를 증권신고서 효력 발생 전부터 잡았다. 이전처럼 증권신고서 효력 발생일부터 2영업일 동안 수요예측을 진행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노리기 위한 일종의 우회 방식이다. 이 경우 상장 예비 기업들은 최근처럼 증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혹시 모를 흥행 악재를 피할 수 있게 된다.
업계는 포스뱅크의 사례가 당국의 IPO 절차 감시 강화에 따른 결과로 풀이했다. 금감원이 지난달 27일 ‘IPO 시장 재무정보 투명성 강화 조치’를 발표하면서 증권신고서 제출 직전 월 실적까지 기재하도록 하자 부담을 느낀 기업들이 공모 일정을 늘려잡고 있다고 분석했다.
IPO 업무를 담당하는 한 증권사 고위 관계자는 “블루엠텍은 수요예측 도중 실적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증권신고서를 정정해야만 했다”며 “회계 감사 없이 빠르고 정확하게 잠정 실적을 내려면 어느 정도 물리적인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증권사 고위 관계자 역시 “12월에는 휴가, 펀드 만기 등이 겹쳐 일정을 넉넉하게 잡기도 한다”면서도 “당분간 금감원의 정정신고서 제출 요청을 고려해 공모 일정을 짤 필요가 있다. 어느 회사도 본보기 1호가 되고 싶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지난달 9일과 16일 각각 예심 승인을 받은 코스닥 상장 추진 업체 이닉스(대표주관사 삼성증권)와 케이웨더·HB인베스트먼트(NH투자증권), 현대힘스(미래에셋증권)는 아직도 증권신고서를 제출하지 않았다. 앞서 LS머트리얼즈와 케이엔에스가 각각 예심 승인 나흘, 사흘 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한 것과 상반된 분위기다. 아직 예심 승인을 받지 않은 기업 가운데 상당수는 내년 상반기 증시 입성을 위해 철야 업무도 마다하지 않고 있다.
업계에서는 현 추세대로라면 내년 1월 코스닥에 상장하는 기업이 포스뱅크 1곳에 그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올 1월에 코스닥에 상장한 기업은 총 4곳이다.
기업가치 3000억 원 이상의 중형급 IPO를 노리는 기업의 한 관계자는 “어차피 내년 1분기 안에 상장하려면 사실상 모든 분기 사업보고서를 회계 감사 없이도 만들 정도는 돼야 한다”며 “잠정 영업이익 같은 수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회계 담당 부서가 매일 야근 중”이라고 말했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