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사모펀드 운용사 IMM프라이빗에쿼티(PE)와 IMM인베스트먼트가 국내 최대 액화천연가스(LNG) 수송 선사인 현대LNG해운의 인수금융을 1년 더 연장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매각 작업은 연말 쯤으로 미뤄질 전망이다.
8일 해운·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IMMPE와 IMM인베스트먼트로 구성된 IMM컨소시엄은 오는 6월 27일 돌아오는 현대LNG해운 인수금융 2000억 원 만기를 1년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IMM은 지난해에도 현대LNG해운 인수전에 뛰어든 HMM 등과 거래 가격을 두고 이견을 보인 끝에 인수금융을 1년 더 연장한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대주단인 산업은행, 새마을금고 가운데 한 곳이 현재 난색을 표하고 있어 인수금융을 연장하자고 설득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IMM은 지난 2014년 현대LNG해운을 1조 300억 원에 인수했다. 인수 가격에 부채 5000억 원이 포함돼 있어 실질적으로는 약 5000억 원을 투입했다. 현재 IMM이 보유한 현대LNG해운의 지분은 79.23%다. 2022년 대신프라이빗에쿼티(대신PE)가 현대LNG해운이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RCPS)에 1800억 원을 투자해 지분 20.77%를 확보하면서 2대 주주가 됐다. 당시 기업가치는 7500억 원 수준으로 매겨졌다.
시장에서는 IMM이 현대LNG해운의 기업가치가 현재 저평가됐다고 판단하고 인수금융 만기 연장을 추진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까지 기업가치 평가 수단으로 사용한 현금흐름할인법(DCF) 기준으로 할인율이 인수 시점 보다 4~5배 높아진 상태다. 통상 금리가 올라가면 할인율도 함께 상승해 기업가치는 내려가게 된다. 해운업 불황 속 SK해운과 폴라리스쉬핑 등 여러 해운사들이 올해 시장에 나오는 점도 변수로 꼽힌다.
업계에서는 IMM이 일단 인수금융 만기를 1년 미룬 뒤 올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현대LNG해운 매각을 추진할 가능성을 높게 점치고 있다. 그러면서 가장 최선의 방안을 원 주인인 HMM 품는 것으로 지목했다. 지난해 매각을 추진했을 때에도 미국, 영국, 그리스, 덴마크 등 외국 선사들이 관심을 보였지만 정부가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LNG선사가 해외에 팔리는 상황을 우려한 탓에 불발됐기 때문이다. HMM이 IMM에 가스선 사업부를 매각할 당시 내건 ‘경쟁 업종 금지’ 조항도 이 기업이 현대LNG해운을 재인수할 유인책으로 충분하다는 평가다. HMM은 이 조항 때문에 2030년까지 LNG 수송업에 진출할 수 없는 상태다. HMM은 약 10조 원의 현금과 현금성 자산도 보유하고 있다.
앞서 HMM은 지난해 현대LNG해운 인수전에서 3000억 원을 제시했다가 협상에 실패한 바 있다. 당시 IMM은 경영권 프리미엄을 포함해 8000억 원 정도를 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IMM은 현대LNG해운 매각에 성공해야 투자에 썼던 블라인드펀드 ‘로즈골드 2호’를 청산할 수 있다. 로즈골드 2호는 10년 만기 펀드로 2012년 7600억 원 규모로 조성됐다.
현대LNG해운은 한국가스공사와 장기계약을 맺고 국내 LNG 운송의 핵심 역할을 맡는 회사다. HMM의 전신인 현대상선 때 LNG전용사업부로 출발했다. 현대LNG해운은 현재 국내로 들여오는 LNG 물량의 15%를 차지한다. LNG 운반 전용선 16척을 보유하고 있고 LPG 운반 전용선 6척도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액은 3387억 원으로 전년(3981억 원)보다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21억 원에서 258억 원으로 증가했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