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의 전기차 판매대수는 2030년 연간 300만대를 돌파할 전망”이라고 관측했다. 현재 현대차그룹이 세운 전기차 판매 목표는 360만대다.
강 연구원은 “이에 따라 현대모비스의 전동화 사업 매출액은 2023년 12조2000억 원에서 2030년 69조4000억 원으로 증가하고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3년 20.7%에서 2030년 50.9%로 크게 늘어날 전망”이라며 “전동화 사업의 턴어라운드는 현대모비스 주가에 중대한 의미를 가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현대모비스는 지분법제외 순이익 대상으로 20% 수준 배당성향을 유지하고 있으나, 지분법이익 포함 시 배당성향은 주요 계열사 대비 낮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차의 2023년 배당성향은 25.1%, 기아(000270)
는 25.5%, 현대모비스는 11.9% 수준이다. 강 여구원은 “전동화 사업 등의 손익 개선으로 당기순이익이 늘어나고 현금흐름이 개선될 경우, 현대모비스가 주주환원정책을 강화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긍정적 관측을 제시했다.
한편 현대모비스의 2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5% 증가한 6737억 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강 연구원은 “유형자산 증가에 따른 감가상각비 증가, 1분기에 확인된 인건비 증가, 반복적인 품질 비용 등을 반영해 모듈 및 부품 사업의 영업이익 전망치를 하향했다”면서 “반면 애프터서비스(A/S) 사업의 영업이익은 우호적인 환율 등을 반영해 503억원 상향했다”고 분석했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