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의 대기성 자금이 초단기채권으로 몰리고 있다. 연초부터 이어진 글로벌 증시 상승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에 더해 연내 금리 인하 전망이 힘을 받으면서 장기채권에서 단기채권으로 갈아타는 수요가 합쳐진 결과다. 수익률이 연 4%에 육박하는 초단기채권 상품이 시장을 일단 관망하면서 투자 기회를 엿보는 자금을 빨아들이는 양상이다.
24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이달 21일 기준 국내 초단기채권펀드 설정액은 최근 1개월간 2조 3151억 원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일반채권펀드 설정액 증가분(1조 1402억 원)의 2배를 넘어서는 규모다. 대기성 자금의 대표 수요처인 머니마켓펀드(MMF)에서 최근 1개월 새 9조 원 이상이 빠져나간 것과 상반된 흐름이다. 같은 기간 주식형 펀드에서도 6904억 원이 줄었다.
초단기채권은 투자적격등급(BBB- 이상)에 투자하지만 국공채와 회사채에 대한 투자 제한이 없고 단기채권과 유동성에 대한 투자 비중이 커 현금성 자산에 주로 투자하는 일반 MMF에 비해 기대수익률이 높다. 실제 지난해 상장한 초단기채 상장지수펀드(ETF)인 ‘SOL 초단기채권액티브’는 상장한 지 1년이 채 안 됐지만 순자산이 5000억 원을 넘어 올해 들어서만 6배 이상 급증했다. 이 상품의 만기 기대수익률(YTM)은 연 3.83%로 무위험지표금리(KOFR)(3.59%), 양도성예금증서(CD)91일물(3.60%) 대비 높다.
차현우 KB자산운용 연금WM본부 이사는 “초단기채펀드는 MMF와 달리 시가 평가 방식을 사용해 금리 인하 시기에 추가 수익을 올릴 수 있다”며 “현 상황에서 유동성 자금은 MMF보다 초단기채에 투자하는 게 더 좋은 수익률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