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3월 말 기준으로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 부동산 투자 가운데 부실 우려가 있는 사업장 규모가 2조 5000억 원 수준까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 당국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른바 ‘빅컷(0.50%포인트 금리 인하)’을 단행한 상황에서도 글로벌 부동산 시장이 여전히 불안정하다며 부실 사업장이 추가로 더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19일 금융감독원은 3월 말 국내 금융회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규모를 34조 5000억 원으로 파악하고 이 중 2조 5000억 원(7.27%)어치 사업장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기한이익상실은 이자·원금 미지급이나 담보 가치 부족 등으로 대출금을 만기 전에 회수하는 것을 말한다. EOD 발생 규모는 지난해 9월 말 2조 3100억 원, 같은 해 12월 말 2조 4100억 원 등 매 분기 1000억 원가량 증가하고 있다. 전체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 가운데 올해 말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규모는 총 6조 8000억 원(11.9%)으로 조사됐다.
금감원은 재택근무 확대 등으로 오피스 빌딩 시장의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있어 EOD 발생 사업장이 더 증가할 수 있다고 봤다. 본격적인 금리 인하기에도 시장 상황이 나아지지 않아 올해 안에 만기를 맞는 해외 부동산 투자 물량 6조 8000억 원어치 가운데 부실 물량이 더 나올 수 있다는 뜻이다.
금감원은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투자 규모가 총자산 대비 1% 미만이라 관련 손실이 전체 금융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면서도 “특이 사업장 현황을 상시 감시해 금융사의 손실 인식, 손실 흡수 능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3월 말 국내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57조 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6000억 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금융권 총자산 6985조 5000억 원의 0.8% 수준이다. 업권별로는 보험이 31조 3000억 원(55.0%)으로 가장 많았고 은행 12조 원(21.0%), 증권 7조 8000억 원(13.8%), 상호금융 3조 7000억 원(6.4%), 여신 전문 금융 2조 1000억 원(3.7%), 저축은행 1000억 원(0.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투자 대상 지역별로는 북미가 36조 1000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유럽 10조 2000억 원, 아시아 3조 9000억 원, 기타·복수 지역 6조 7000억 원 등의 순이었다. 만기별로는 2030년까지 돌아오는 규모가 44조 1000억 원(77.4%)으로 가장 많았다.
금감원은 “미국·유럽 등의 부동산 시장도 개선되지 않고 있어 전체 대체투자 금액은 줄었다”고 설명했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