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무궁화신탁은 자회사인 케이리츠투자운용에 이어 모회사 매각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매각 주관을 맡은 삼정KPMG는 현재 케이리츠투자운용(지분 98.23%) 매각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전사 매각이 추진된 배경에는 금융당국의 경영개선명령이 있다. 금감원 조사 결과 무궁화신탁의 9월 말 영업용순자본비율(NCR)은 69%로, 경영개선권고 기준인 150%를 크게 밑돌았다. 회사는 내년 1월까지 경영개선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2003년 설립된 무궁화신탁은 2009년부터 부동산신탁 사업을 영위해왔다. 설립 초기에는 신한은행, 하나대투증권, GS건설 등이 주요 주주로 참여했으나, 2016년 이용만 전 회장의 지분 매각 이후 주주 구성이 크게 바뀌었다. 현재는 오창석 회장이 62.4%의 지분을 보유한 최대주주다. 다만 오 회장은 작년 75%대였던 지분을 최근 수차례에 걸쳐 매각하며 지분율이 감소했다. 업계는 이번 매각을 통해 무궁화신탁의 자본 확충과 경영 정상화가 이뤄질 지 주목하고 있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