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 산업 특성) 자동차 산업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주력산업으로 3만여개의 부품, 관련 소재 및 서비스 등 전후방 산업에 파급효과가 가장 큰 산업
○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 변화) 뉴노멀시대 진입, 기후변화 이슈 및 ICT 기술 발전으로 촉발된 4차 산업혁명 이슈가 내연기관 중심의 글로벌 자동차산업에 큰 변화 예상
- 기후변화체제 등장 및 정보통신 기술발전으로 자동차산업은 패러다임 전환기에 있으며, 그 변화는 C(connected), A(Autonomous), S(Shared), E(Electric)으로 요약
자율 주행 자동차
- (시장 전망) 글로벌 자율주행 시장규모는 2020년 71억 달러, 2025년 1,549억달러, 2030년 6,565억 달러 급성장 전망
- 자율주행 시장의 본격적인 성장시점은 2025년으로 예상되며, 2030년 상업용 분야를 중심으로 완전 자율주행이 본격적으로 성장할 전망
- 한국은 여전히 핵심 센서 등 중요 부품에 대한 기술확보가 더딘 상황이며, 인공지능 등 소프트웨어 경쟁력 확보도 시급
전기자동차
- (전기자동차 시장 전망) 2021년 글로벌 전기자동차 수요는 전년대비 16.4% 증가한 264만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5년 수요는 850만대로 급증 전망
-(리튬이차전지 시장 전망) 2020년 기준 글로벌 리튬이차전지 시장규모는 194GWh이며, 2030년 2,045GWh 수준으로 성장 전망
-(산업경쟁력 분석) 글로벌 전기자동차 시장에서 현대 기아 자동차도 4위권을 기록하고 있어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 리튬이차전지의 글로벌 제조사 중 LG화학이 1위 차지하고 있으며, 삼성SDI 4D위, SK이노베이션 6위 수준
시사점
글로벌 자동차 산업은 친환경 및 소비자 편의성 극대화라는 방향으로 저성장 구조를 탈피하기 위한 패러다임 전환이 임박했으며, 2025년을 기점으로 신기술 등장에 따른 신규 수요가 본격화될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