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규고용 창출, 신제품?서비스 확산 등 신생 스타트업이 지역사회, 국가 경제에 끼치는 긍정적인 영향으로 인해 주요국들은 이에 대한 육성?지원 정책을 활발하게 전개하는 중
■ 신생기업(new firm)은 신규 고용을 창출하고 국가 경제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반면 낮은 생존율과 성장률 문제에 직면
■ 본고는 OECD 국가를 대상으로 국가적 생태계 관점에서 신생기업의 생존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함
? 다양한 원인조건(cause)들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관점에서 결과조건(outcome)에 대한 필요조건 necessary condition
(단일요인)과 충분조건 sufficient condition
(다수요인 결합)을 검증하기 위해 퍼지셋 질적비교분석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fsQCA) 실시
- 원인조건으로 (1)스타트업 투자, (2)신기술 활용, (3)네트워킹, (4)기회적 창업, (5)경쟁, (6)국제화를 적용
■ 높은 신생기업의 생존율은 단일한 원인조건을 통해 달성하기 어려우며, 다양한 원인조건의 결합(combinations of causal conditions)을 통해 생존율 향상 가능
■ 한국은 스타트업 투자, 신기술 활용, 경쟁 정도의 수준이 높고, 나머지 요인들은 낮은 수준으로 분석됨
■ 신생기업의 생존율 향상을 위해 경쟁 환경에 대한 중요성 인식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