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공개 매수 시한이 24일로 종료되는 가운데 사모펀드(PEF)들이 연합해 오스템임플란트의 경영권 지분을 확보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공개 매수 방식의 상장사 인수합병(M&A)이 업계의 새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다. 정부도 지난해 말 상장사 M&A의 의무 공개 매수 도입을 결정했고 SM엔터테인먼트(에스엠(041510)
) 등으로 공개 매수를 통한 M&A도 확산하는 모습이다. 투자은행(IB) 업계와 사모펀드는 벌써 오스템임플란트 사례를 뼈대로 기업 오너들에게 매각 컨설팅을 시작하는 모습도 포착된다. 증권사들도 공개 매수 주관 업무를 맡는 데 적극적인 모습이다.
사모펀드 운용사인 유니슨캐피탈과 MBK파트너스가 진행 중인 오스템임플란트 지분 공개 매수는 마감을 하루 앞둔 23일 사실상 성공적으로 막을 내렸다. 주당 19만 원을 공개 매수 가격으로 제시한 유니슨 컨소시엄은 이미 목표 최소 수량(239만 주·약 15.4%)을 훨씬 상회하는 물량을 확보했다. 오스템임플란트의 주요 주주인 KCGI(6.92%)와 KB자산운용(3.47%)은 이미 공개 매수에 응하기로 밝힌 상태다.
남은 관전 포인트는 유니슨 연합이 최대치로 제시한 공개 매수 물량(1117만 주·약 71.8%)을 채워 목표했던 오스템임플란트의 상장폐지까지 실행할 수 있을지에 쏠린다. 유니슨 측은 앞서 최규옥 오스템임플란트 회장 지분 18.9% 중 9.3% 등을 사들였는데 공개 매수로 사들인 지분과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을 합해 최대 90.7%를 확보하면 거래소와 상장폐지 논의에 들어갈 수 있다. 증권사 관계자는 “최근 한 달 동안 기관과 외국인은 매수하고 개인은 매도 물량이 많았다”면서 “차익 거래에 능한 헤지펀드들이 개인 물량을 받아 공개 매수에 응할 준비를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모펀드 업계는 오스템임플란트 사례를 바탕으로 공개 매수형 M&A 추진을 속속 검토하고 있다. 한 운용사 대표는 “그동안 공개 매수 방식은 M&A 성공 가능성이 불확실해 쉽게 택하지 않았다”면서도 “오스템임플란트 딜을 참고해 일부 기업에 케이스 스터디를 시작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스템임플란트 공개 매수에 사모펀드들이 관심을 보이는 것은 정부가 상장사 M&A의 의무 공개 매수 제도를 도입하기로 한 것과도 관련이 있다. 금융위원회는 상장사 경영권 지분 25% 이상을 취득해 최대주주가 되려면 매수인이 소액주주 지분까지 추가 매입해 총 50%+1주를 확보하도록 할 방침이다. 법 개정을 거쳐 2024년 시행이 목표다.
최근 행동주의 펀드 영향력이 확대되고 소액주주 연대도 활발해지자 공개 매수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평가마저 나온다. 이달 초 SM엔터 경영권 인수에 나선 하이브가 곧장 두 번째 공개 매수 타자로 나서는 등 분위기는 빠르게 확산하는 모양새다. IB 업계 관계자는 “대형 사모펀드들이 넉넉한 자금을 확보하고 있어 공개 매수형 기업 인수는 이제 언제든 검토할 수 있는 M&A 방식이 됐다”고 전했다.
공개 매수 관련 시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대형 증권사 간 경쟁도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공개 매수 업무는 오프라인 창구에서만 진행되기 때문에 전국에 지점망을 보유한 대형 증권사나 금융지주 산하 증권사 사이 각축전이 펼쳐질 것으로 전망된다. 오스템임플란트 공개 매수를 주관한 NH투자증권(005940)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